반응형
엘지 시스템 에어컨을 사용 중
이전 포스팅에서도 시스템에어컨 에러코드
많이 알려드렸는데 에러발생시 빠른 조치가
중요하다는 것을 오늘 느꼈습니다.
에어컨 고장 때문에 실외기 내부 전선이 녹는
화재가 발생해서 큰 불이 날 뻔 했거든요.
시스템에어컨도 그렇고 가정용 에어컨도
에러코드 또는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가
직접 조치할 수 있는 부분은 많지 않기 때문에
에러증상 확인 후에는 서비스센터 문의 후
가장 빠른 AS 접수가 필요할거 같아요.
엘지시스템에어컨을 사용하면서
가장 자주 접하게되는 에러코드 CH23
시스템에어컨 에러코드 CH23 조치방법으로
입력저항 확인, 터미널블록 체결 확인 등인데
정말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것들이 없어요.
그렇게 엘지서비스센터 접수 후
에어컨 전문 엔지니어 확인 결과 전선이
녹아내렸는데 화재로 연결될 뻔 했다고
불 안 난게 천만다행이더라구요.
저렇게 복잡한 에어컨 실외기 속
일반 사용자가 열어서 본 들 할수있는건
아무것도 없으니 AS접수가 최선입니다.
엔지니어가 시스템에어컨 에러코드 CH23
조치 후 다시 살아나는 시스템에어컨 모니터
에어컨 고장시에는 빠른 조치가 최고
10년 정도 시스템에어컨 사용 중인데
CH23 에러코드 자주 보던 것이라 크게
생각하지 않았는데 이번에 느꼈어요.
에어컨 고장시 할 수 있는건 없으니까
LG 서비스센터에 지금 전화하세요.
1544-7777
그리드형
'소소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관세청 개인통관고유번호 발급 조회방법 (0) | 2020.09.28 |
---|---|
경기지역화폐 소비지원금 충전방법 (0) | 2020.09.28 |
신세계상품권 사용여부 확인방법 (0) | 2020.09.24 |
9월 24일부터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신청 (0) | 2020.09.24 |
모바일 OTP 편하지만 불편한 점 (0) | 2020.09.22 |